1. 상습적으로 고민거리를 말하고 다닌다.
-누구나 고민은 한다.
그러나 어차피 당신이 풀어야 할 문제다.
당신의 잦은 푸념은 결국" 내능력은 이것밖에 안 돼."하고 광고하고 다는 격이 되고 만다.
2. 모르는 것은 일단 물어보고 본다.
-무언가를 묻기 전에 적어도 당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두가지 이상 찾아보자.
질문은 그뒤에 해도 늦지 않다.
3.이유를 밝히지 않고, 맞장구를 친다.
-왜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서지 않는다면 남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장구치지 말라.
일이 잘되면 상으로 주어지는 몫은 의견을 낸 당사자에게 돌아가지만 반대로 일이 잘 안 풀릴 경우
변명이나 원망의 대상에 당신마저 포함될 수 있다.
4. 'yes'란 답을 얻고서도 설득하려 든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득하려 들지 말라.
애써 당신의 처지를 설명하고 동조를 구하는 것은 적극적이지 못하고
소심하다는 인상만을 남길 뿐이다.
5. "죄송해요"를 남용한다.
-습관적 죄송은 배려로 받아들여지자 않고 오히려 상대방에게 내가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6.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 말, "그럼 제가 해 볼께요."
-조직 내에서 가장 끔찍한 상황은 '공식화 되지 않은 책임'을 수행해야 할 때이다.
당신은 모든일을 처리하기 위해 조직 내에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역시 당신에게 그런 기대를 하지 않는다.
7. 부정적 의견을 되묻는다.
-"왜요?,
"뭐가 잘못됐죠?"라고 되묻지 말라.
쓸데 없는 감정 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될 일이다.
-누구나 고민은 한다.
그러나 어차피 당신이 풀어야 할 문제다.
당신의 잦은 푸념은 결국" 내능력은 이것밖에 안 돼."하고 광고하고 다는 격이 되고 만다.
2. 모르는 것은 일단 물어보고 본다.
-무언가를 묻기 전에 적어도 당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두가지 이상 찾아보자.
질문은 그뒤에 해도 늦지 않다.
3.이유를 밝히지 않고, 맞장구를 친다.
-왜 좋은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가 서지 않는다면 남의 의견에 함부로 동조하거나 맞장구치지 말라.
일이 잘되면 상으로 주어지는 몫은 의견을 낸 당사자에게 돌아가지만 반대로 일이 잘 안 풀릴 경우
변명이나 원망의 대상에 당신마저 포함될 수 있다.
4. 'yes'란 답을 얻고서도 설득하려 든다.
-동조와 허락을 받아낸 것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득하려 들지 말라.
애써 당신의 처지를 설명하고 동조를 구하는 것은 적극적이지 못하고
소심하다는 인상만을 남길 뿐이다.
5. "죄송해요"를 남용한다.
-습관적 죄송은 배려로 받아들여지자 않고 오히려 상대방에게 내가 무관심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6. 스스로 함정에 빠지게 하는 말, "그럼 제가 해 볼께요."
-조직 내에서 가장 끔찍한 상황은 '공식화 되지 않은 책임'을 수행해야 할 때이다.
당신은 모든일을 처리하기 위해 조직 내에 있는 것이 아니며,
조직역시 당신에게 그런 기대를 하지 않는다.
7. 부정적 의견을 되묻는다.
-"왜요?,
"뭐가 잘못됐죠?"라고 되묻지 말라.
쓸데 없는 감정 노출로 경계심을 살 필요없이 결과로만 말하면 될 일이다.
출처 : miniwater
글쓴이 : 해피바이러스 원글보기
메모 :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효자 유학생의 이야기 (0) | 2008.04.27 |
---|---|
불효자 유학생의 이야기 (0) | 2008.04.27 |
[스크랩] 호감을 주는 말하는 기법 20 (0) | 2007.06.09 |
향수 (0) | 2007.06.04 |
[스크랩] 항상 즐겁게 사는 31가지 방법^^* (0) | 2007.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