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GTB)』 2010-04-02 |
미국 캘리포니아와 한국의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최초로 조류로부터 전류를 성공적으로 획득하였다. 조류로부터 전류의 발생은 궁극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새롭고 친환경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생물들은 식물들과 조류가 주변에서 살아있는 동안에 이들로부터 에너지를 빼앗아 왔다. 일반적으로 생물들이 식물들과 조류로부터 빼앗은 에너지는 저장된 화학에너지로서 당분, 녹말, 기타 분자들 등이다. 디스커버리 뉴스(Discovery News)에 따르면 연구팀은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드티(Chlamydomonas reinhardtii)로 불리는 널리 퍼지고 특성에 대해서 잘 연구된 조류로부터 전자들을 빼앗았다. 스탠포드 대학교(Stanford University)의 과학자인 프리츠 프린즈(Fritz Prinz)는 연구팀이 조류로부터 전자의 흐름을 빼앗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조류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과학자들은 반드시 과전압이라고 불리는 매우 작은 전자의 흐름들을 적용하여 세포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세포들에 시동을 걸어야 한다. 과전압은 조류가 태양빛에 노출될 때에만 작동한다. 조류 세포들이 어둠 속에서 전기에 의해서 감전된다면 조류 세포들은 전혀 전자의 흐름을 생산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빛에 노출되고 전기에 의해서 감전될 때에 전자들이 흐르게 된다. 조류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전류의 양이 아직까지는 너무 작아서 어떠한 소비자형 전자 기기들도 가동시키지 못한다. 1암페어의 전류를 얻기 위하여 과학자들은 몇 조개의 세포들을 이용해야 할 것이라고 프린즈가 말했다. 전기에 감전시키는 공정이 조류의 수명을 수십 분까지 저감시키기 때문에 암페어 단위의 전류를 얻는 것은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더욱이 공정을 통해서 얻는 전류의 양이 조류 세포가 에너지를 생산하도록 시동을 걸기 위하여 필요한 전류의 양을 초과하지 못한다. 실험을 통해서 아직까지 실제 에너지 이득을 얻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류는 매우 작고 싸며 풍부하다. 프린즈와 그의 동료들이 조류로부터 전자의 흐름을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은 매우 인상적이며 새로운 연구 분야들을 개척하였다. 미국 예일 대학(Yale University)의 과학자인 게리 브루드비그(Gary Brudvig)에 따르면 이번 연구가 곡물을 성장시키고 수확하는 것보다 더욱 직접적으로 자연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태양 에너지 전환 공정을 조류 세포들을 통해서 상상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고 말했다. |
출처 : http://www.newkerala.com/ |
출처 : 보호사랑
글쓴이 : 키신저 원글보기
메모 :
'조력발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봉도는 조력발전을 원하지 않는다 (0) | 2010.04.16 |
---|---|
재생에너지인 조력발전을 환경단체와 지역주민들이 반대한다? (0) | 2010.04.16 |
[스크랩] 시화호 조력발전, 바람직하지만 걱정이 (0) | 2010.04.16 |
[스크랩] 하와이 앞바다에서 파력에너지 전개 (0) | 2010.04.16 |
[스크랩] 조력발전의 현실성과 환경영향에 대한 보고 (0) | 2010.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