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그, "천안함 북한 소행, 이해할 수 없어" |
| ||||||||||||||||||
기자들은 그런 것을 잡아내고 뽑아내는 데에 익숙합니다. 그리고 경력이 쌓일수록 그 내용을 최대한 축약, 요약하고 소위 ‘섹쉬’한 제목을 달아 올리는 데 선수입니다. 팩트의 경계선을 넘나들며 맘껏 상상력을 동원하여 기사를 만들어 내는 데에도 일가견이 있습니다. 그런데 지나치게 기교에 빠진 나머지 전체적 흐름이나 맥락은 놓쳐버리고 소위 임팩트 있는 발언 중심으로 기사를 편집하는 경향이 많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몇 가지 발언만 부각이 되고 전체적인 배경에 대한 설명은 놓쳐버리는 것이지요. 그런 경우엔 그저 있는 그대로 전문을 소개하는 기사가 최고입니다. 그레그 前 주한 미 대사의 뉴욕타임스 기고문 관련 보도에서도 그런 면이 발견됩니다. 그 내용을 요약 보도한 매체와 그것을 그대로 받아 전파한 많은 매체들 가운데, 그레그 대사의 기고문 전문을 함께 소개한 뷰스앤뉴스 임지욱 기자의 보도가 참으로 돋보이는 이유입니다. 어제 변호사님으로부터 받은 공소장이 무려 69페이지에 달해 놀랐습니다. 공소항목은 38항목인데 그 중 하나라도 걸리면 유죄란 뜻이겠지요. 종일 공소장 붙잡고 씨름하다가 머리도 식힐 겸 그레그 前 대사의 기고문 전문을 풀어 보았습니다. 역시 전문을 보아야 전체 윤곽이 잘 보이는군요.
Testing North Korean Waters By DONALD P. GREGG
Still, a year ago, it seemed possible that relations between Seoul and Pyongyang might improve. A North Korean delegation to the August 2009 funeral of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champion of the “sunshine policy” of engagement with North Korea, was warmly received by President Lee. Later in 2009, North Korea proposed a North-South summit meeting and also invited Kim Dae-jung’s widow to visit Pyongyang.
But while these conciliatory gestures by North Korea were still under consideration, on March 26 the South Korean Navy frigate Cheonan exploded and sank under mysterious circumstances in the Yellow Sea just off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where North and South Korean naval vessels have often clashed.
A South Korean investigation concluded that the ship was sunk by a torpedo fired by a North Korean submarine. The United States concurred, and the sinking of the Cheonan came to be viewed in the United States as proof of North Korean infamy.
The United States imposed additional sanctions on the North and joined South Korea in staging military exercises of an unprecedented scope on sea and land.
One of South Korea’s leading diplomats put it to me this way: “The Lee government has burned all its bridges with North Korea, and has been undertaking hard-line policies with no exit strategy. The current North-South relationship resembles a classic game of chicken.”
One problem, however, is that not everybody agrees that the Cheonan was sunk by North Korea. Pyongyang has consistently denied responsibility, and both China and Russia opposed a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laying blame on North Korea.
In June, Russia sent a team of naval experts to look over the evidence upon which the South Korea d its accusations. Though the Russian report has not been made public, detailed reports in South Korean newspapers said the Russians concluded that the ship’s sinking was more likely due to a mine than to a torpedo. They also concluded that the ship had run aground prior to the explosion and apparently had become entangled in a fishnet, which could have dredged up a mine that then blew the ship up.
South Korea has not officially referred to the Russian conclusions. When I asked a well-placed Russian friend why the report has not been made public, he replied, “Because it would do much political damage to President Lee Myung-bak and would embarrass President Obama.”
Recent statements by senior U.S. officials in Washington have continued to blame the Kims for the sinking of the Cheonan; it was purportedly done to prove the toughness of the ruling family as it prepares for another transition.
But whatever the impact of military maneuvers, economic sanctions and verbal attacks might be, those in Washington and Seoul who are hoping for a collapse of the Kim regime are doomed to disappointment. China will not let that happen.
China might not be happy with a nuclear-armed North Korea, but it is far more worried by in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Putting further pressure on Pyongyang also only strengthens its dependence on China. The increasing frequency of Kim Jong-il’s trips to China, and the quality of the reception he receives, are clear indications of this trend.
American pressures are also likely to instill a mistrust and hostility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e mind of Kim Jong-un, who is in his mid-20s and about whom little is known.
The disputed interpretations of the sinking of the Cheonan remain central to any effort to reverse course and to get on track toward dealing effectively with North Korea on critical issues such as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etails of the South Korean investigation of the Cheonan tragedy have not been made public, and undercurrents of opposition to its conclusions are growing stronger in Seoul.
북한의 반응 떠보기 (도널드 그레그) 일 년 전까지만 해도 남한과 북한의 관계가 나아질 여지가 있어 보였다. 2009년 8월 이명박 대통령은 ‘햇볕정책의 화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식에 북한 대표단이 참석을 흔쾌히 받아들였다. 그해 말, 북한은 남북 정상회담과 함께 김 전 대통령의 미망인 이희호 여사의 평양방문을 제안한다. 그런데 북한의 이러한 유화적인 제안과 그에 따른 논의가 진행 중이었을 것이 분명한 시기인 3월26일, 한국 해군의 초계함이 서해 상에서 불가사의한 폭발로 침몰하는 일이 발생한다. 서해는 과거 남북 해상 충돌이 잦았던 지역이다. 한국 조사단은 천안함이 북한 잠수함에서 발사된 어뢰에 의해 격침되었다고 결론 내렸고, 미국 역시 천안함의 침몰이 북한의 도발로 보인다는 견해를 밝혔다. 미국은 북한에 대해 추가 제재를 가함과 동시에 남한과 함께 전례가 없는 대규모 육·해상 군사훈련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해 한국의 어느 유력한 외교관은 “이명박 정부는 북한과 통하는 모든 다리를 불태워버렸고 출구 없는 초강경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현재의 남북관계는 전형적인 치킨게임으로 치닫고 있다”라고 말한다. 문제는,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소행이라는 한국의 주장에 대해 국제사회의 모든 성원들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북한은 천안함 사건의 책임에 대해 일관되게 부인하고 있고, 중국과 러시아 역시 UN이 북한에 책임을 묻는 것에 반대하였다. 지난 6월, 러시아는 천안함 관련 증거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해군전문가로 구성된 조사단을 파견한 바 있다. 러시아 보고서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한국의 뉴스매체를 통해 보도된 바에 의하면 러시아 조사단은 어뢰보다는 기뢰로 결론 내리고 있으며, 또한 천안함에 폭발이 발생하기 전 좌초 하면서 그물에 얽혔으며 그물이 끌고 올라온 기뢰가 폭발한 것으로 보인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한국은 러시아의 결론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개인적으로 잘 아는 러시아 친구에서 “왜 러시아가 조사보고서를 공개하지 않느냐”고 물었더니 “만약 공개한다면 이명박 정권에게는 정치적으로 치명적인 타격을 입히게 될 것이고 오바마 대통령을 매우 당황스럽게 만들 것”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최근 워싱턴 고위 관료들은 천안함의 침몰과 관련 김정일에 대한 비난을 이어가는 가운데, 천안함 사건이야말로 김정일 정권이 권력세습 및 이양을 준비하고 있는 확고한 증거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이나, 경제제재 혹은 비난의 강도가 얼마나 크든 간에 미국과 한국 정부가 바라는 것처럼 김정일 정권이 붕괴하는 일은 절대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이 그렇게 되도록 내버려둘 리가 있겠나. 중국 역시 북의 핵무장을 달갑게 여기고 있진 않지만 그보다 더 걱정하고 있는 것은 한반도에서의 안정이 깨어지는 것이다. 북한에 대한 압력이 높아질수록 중국에 대한 북한의 의존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김정일의 잦은 중국방문과 논의의 폭이 갈수록 깊어진다는 점들이 그 사실을 입증하고 있다. 미국의 압박 역시, 이제 겨우 20대 중반에 우리에게 알려진 것이 거의 없는 (김정일의 후계자) 김정운에게 미국에 대한 불신과 적대감만 쌓이게 할 뿐이다. 천안함 침몰을 둘러싼 잘못된 접근방법이 한반도에서의 비핵화 문제와 같은 주요 현안으로 복귀하여 원만하게 논의하고자 하는 노력에 가장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천안함 사건에 대한 한국정부의 공식조사보고서조차 나오지 않는 가운데 합조단의 결론에 반대하는 한국민의 바닥 민심은 더욱더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것은 북한이 이명박 정권 들어서고 처음으로 남북긴장완화 및 관계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을 한 셈인데, 그로부터 불과 6개월 뒤 잠수함을 보내 우리 영역에서 초계함을 격침시켜 스스로 운신의 폭을 좁히는 행위가 과연 가능한지 혹은 이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가늠케 하는 내용인데, 그나마 오늘 MBC-TBS와 연쇄 인터뷰한 내용과 함께 보도되고 있네요.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table=seoprise_12&uid=197448)
신상철
| ||||||||||||||||||
![]() | ||||||||||||||||||
|
'서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 중수부장 이인규의 해괴한 ‘차명계좌’ 발언 (0) | 2010.09.05 |
---|---|
MB의 러시아 전격 방문에 보내는 미국의 경고 (0) | 2010.09.04 |
백만송이 장미 중 한송이 (0) | 2010.09.04 |
현대판 음서제도의 특징 (0) | 2010.09.04 |
당신의 천국이 우리의 지옥입니다. (0) | 2010.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