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유감표명해달라 수위 낮춰?? 실소를 금할수 없다. |
| ||||||||||||||||||
(뷰스앤뉴스 / 이영섭 / 2010-09-19)
미국의 <워싱턴포스트(WP)>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인용해 미국과 동맹국들은 현재의 대북정책이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북한에 대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중이라며, 향후 방안에 대한 한.미.일 3국의 일반적 합의 도달과 함께 새로운 (대북) 전략의 대체적인 윤곽이 만들어지기 시작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P는 강화된 제재와 한미연합 군사훈련 등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가 무한정 계속될 경우 북한 내 강경파들을 대담하게 만들거나 대량살상무기(WMD) 확산 노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전략 전환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WP는 한.미.일 3국은 북한이 천안함 희생자들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오바마 행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이 당초 천안함 사건에 대한 책임 인정과 사과를 북한에 요구했지만 지금은 일종의 애도를 표시하는 것과 같은 수준으로 요구가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한국 국민들의 분노와 불만을 해소하는 방법으로 이(북한의 유감표명)는 이뤄져야 할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WP는 북한이 유감 성명을 발표한다면 그후 북한으로부터 무엇을 기대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합의가 덜 됐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한.미.일 정부내 일부 당국자들은 실제적인 대화 재개에 앞서 북한이 핵프로그램의 포기라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기를 원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한편 WP는 지난 8월 말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전문가 및 정책입안자들과 함께 북한 문제에 대한 세미나를 열었으며, 참석자들에 따르면 클린턴 장관은 미국과 동맹국들이 '북한과의 관계 재개(reengage)' 방안을 찾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납득하게 됐다고 전했다. 한 참석자는 "지금까지는 의자에 제재와 군사훈련이라는 두개의 다리가 있었지만 클린턴 장관은 북한과의 대화를 필수적인 세번째 것(다리.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참석자는 회의에 참석했던 누구도 북한이 곧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하도록 설득될 것이라는 환상을 갖고 있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북한과 대화를 하는 것이 봉쇄(containment)의 기능을 할 수 있다는데 점점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WP 보도는 최근 '대화파'인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특별대표(북한 담당)가 한국, 일본, 중국 등을 잇따라 방뭄하며 북미 직접대화를 시사하는 등 유화 분위기를 조성하고, 클린턴 국무장관도 보드워스 대표의 입장에 동조하기 시작했다는 관측 등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보도의 신뢰성에 무게를 더해주고 있다. 정부도 WP 보도에 대해 공식적으론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고 있어, 사실상 보도를 시인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도 "천안함 사건에 대한 '사과'나 '인정'은 북한이 그동안 해온 말을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해, 북한이 유감 표명만 해도 이를 수용할 것임을 시사했다.
이영섭 기자 / 뷰스앤뉴스
| ||||||||||||||||||
![]() | ||||||||||||||||||
|
'서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함 시인하면 용서해 주겠다? (0) | 2010.09.19 |
---|---|
방통위 여전히 ‘칼자루’…‘선정 특혜’ 논란 그대로 (0) | 2010.09.19 |
방통위 여전히 ‘칼자루’…‘선정 특혜’ 논란 그대로 (0) | 2010.09.19 |
노무현이 반문한 '좌파신자유주의?'에 물음표 떼버린 진보진영 (0) | 2010.09.19 |
천안함최종조사보고서의 어뢰와설계도의 결정적오류 (0) | 2010.09.19 |